올해 1월에 큰 폭으로 급등했던 은행주들은 올해 상승분의 대부분을 반납했습니다.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크레디트스위스(CS) 매각 등으로 은행권 투자심리가 악화되면서 매도하는 외국인이 많기 때문.증시 전문가들은 국내 은행들이 부실해질 가능성은 낮지만 당분간 은행권의 투자 분위기 악화는 불가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크레디트스위스(CS) 영향으로 은행주 하락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금융지주와 은행주 9개 종목이 포함된 'KRX은행' 지수와 증권주 14개 종목이 포함된 'KRX증권' 지수는 이달 2일부터 24일까지 나란히 9.46% 하락했습니다. 이달 들어 양 회장의 수익률은 28개 KRX 지수 중 가장 낮았습니다. KRX300 파이낸스(-9.11%), KRX손해보험(-8.31%) 등 금융지표도 부진했습니다.
급등 후 투자심리 악화로 급하락
은행주는 연초 배당 등 주주 배당을 늘리고, 지난해 실적도 우수해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하지만 이달 들어 SVB와 CS 위기가 연이어 터지면서 국내 은행들은 투자심리 악화에 즉각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연초 대비 상승폭을 반납하고 시작보다 2.20% 낮게 한 해를 마감했습니다.
연초 은행주를 사들인 외국인은 이달 들어서만 5540억 원을 순매도했는데, 이 가운데 KB금융(105560억 원)(2380억 원), 신한지주(055550억 원)(1950억 원), 하나금융(086790억 원), 우리 금융(31640억 원) 등이 포함됐습니다. 외국인 소유주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은행 주가는 외국인 매도의 결과로 극적으로 하락했습니다.
개별 종목은 DGB금융그룹(139130)이 12.66% 하락하며 가장 많이 급락했습니다. 이어 하나금융(-11.12%), 신한지주(-11.07%) 등이 하락했습니다. 한국금융지주(071050)는 하락(-11.94%), 메리츠종금증권(008560)은 하락(-11.75%), 유안타종금증권(003470)은 하락(-11.39%), 한화투자증권(003530)은 하락(-10.64%)했습니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 은행들은 자산의 대부분이 대출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SVB나 CS처럼 실질적인 부실에 시달릴 가능성이 적다"고 설명했습니다. 신영증권 이경록 연구원은 "국가와 스위스 금융당국의 신속한 대응으로 글로벌 금융시스템의 취약점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최소화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완화 재산 2억5400만원까지 지원 복지정책 (0) | 2023.04.07 |
---|---|
40만원 신용 상승 지원 대상 청년 모집 신청방법 (0) | 2023.04.04 |
미소금융 취약계층자립자금 금리 대출한도 자격 요건 (0) | 2023.03.15 |
미소금융 취약계층교육비지원대출 상품 금액 한도 상환방법 자격요건 (0) | 2023.03.15 |
대환 대출 플랫폼 주택 담보 대출까지 금융위원회 5월 출시 (0) | 2023.03.13 |
댓글